광고
광고

기자와 떠나는 성남역사기행(1)

  • 관리자 | 기사입력 2008/02/28 [16:38]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성남의 젖줄, 탄천과 함께한 역사와 문화

서울에는 동서를 가로지르는 한강이 있고 성남에는 남북을 관통하는 탄천이 있다. 빌딩과 고층아파트가 즐비한 시 한복판을 뚫고 도시의 숨통을 열어주는 한줄기 바람처럼 우리 곁을 흐르고 있다.
유구한 세월 동안 흐르는 그 자체로 자연의 순수함을 잃지 않으며 메마른 도시의 삶속에서 자연의 숨결을 갈구하는 사람들에게 자연의 소리를 들려주고 그 마음까지 촉촉히 적셔주는 탄천. 그렇기에 시민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우리 삶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탄천은 용인시 구성면 석성산에서 발원해 성남시 가운데를 북류해 16km를 흐른 후 서울의 양재천으로 합류하고, 88올림픽이 개최됐던 잠실에서 한강과 최종합류하게 된다.
탄천으로 유입하는 지류들은 모두 성남의 동·서 산지에서 발원하는데 판교신도시를 가로지르는 유로 연장 5.3km의 운중천, 지하철 8호선과 원래 성남의 중심가인 '중앙로'로 개발된 5km의 단대천, 현재 공단로라고 더불어 탄천은 성남시 취락과 교통로의 골격을 구성하는 지형적 배경이 됐다.

탄천이 흐르는 지점은 해발고도 20m 내외. 일찍이 하천변 충적지는 농경지 혹은 취락입지로 이용돼 왔으며 연안의 복정동 시흥동 여수동 판교동 금곡동 운중동 일대가 성남시의 주요 농업지대를 형성해 왔다.
또한 남북으로 길게 뻗은 탄천 연안의 평평한 충적지는 예부터 주요 도로로 기능하였는데, 조선시대 6대로 중의 하나인 동래로가 관통하였고, 1~2km간격을 두고 탄천과 거의 평생하게 놓인 393번 지방도로는 조선후기 전국적인 규모의 큰 장이었던 송파장과 한성을 잇는 매우 중요한 상업로였다.
현재는 판교 이남의 경부고속도로와 이북의 서울외곽순환도로가 탄천 연안의 충적지를 따라 남북으로 뻗어 있다.

농경을 영위했던 전통시대에는 탄천이 이 지역의 삶의 젖줄로서 절대적인 존재였을 것이다. 이러한 탄천에 얽힌 사연이 없을 리 없다.
특히 중국 한나라의 재기발랄한 인물인 동방삭과 관련된 전설이 유명하다.
"동방삭이 탄천을 건너가는데 웬 사람이 숯을 빨고 있자 그 사연을 물었다. '숯을 빨면 하얗게 씻어진다'라는 대답에 동방삭이 웃으면서 '내가 삼천갑자를 살았지만 숯을 빨면 희어진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다'고 했다. 이에 저승사자들이 그가 동방삭인 줄 알고 붙잡아서 저승으로 데려갔다." 이후부터 이 내를 탄천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탄천과 관련 깊은 인물들로 남영과 이지직이있다. 조선 경종 때의 인물로 남이 장군의 6대손인 남영이 살던 곳이 탄리였는데 그의 호인 탄수에서 빌려와 탄리라고 했고, 탄천이란 지명도 여기서 유래됐다는 이야기가 있다. 둔촌 이집의 아들로 고려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정몽주의 문하였던 청백리 이지직의
호 역시 탄천이었다.
탄천이 역사적 사건의 현장으로 주목받은 때는 병자호란 시기다. 남한산성 주변에 포진한 청군은 탄천의 서쪽에 본진과 함께 길게 진영을 짜고 있었다.
남한산성 주변에 포진한 청군은 탄천의 서쪽에 본진과 함께 길게 진영을 짜고 있었다. 남한산성으로 진입하려던 각지의 근왕병들은 탄천 주변에서 청군과 격전을 벌였는데 당시의 참상을 '해행총전'에는 "마희천(동막천)에 이르러서는 시체가 쌓이고/피가 수십 리에 잇달아서 말이 더 나아가지 못한다./
충청감사 정세규가 싸움에서 진 곳인데 참혹하여 그 슬픔을 말할 수 있으랴"고 전한다. 탄천은 그 역사의 현장을 말없이 지켜본 목격자이기도 하다.

21세기에 탄천은 우리에게 안식처로 다가온다. 한때 탄천은 '숯내'라는 명칭 그대로 역한 냄새가 날 정도로 검게 오염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시 당국과 시민들이 환경보호와 수질개선에 발 벗고 나서면서 맑은 하천으로 조금씩 탈바꿈하고 있다.

예전에 선조들이 탄천을 중심으로 생계와 삶의 터전을 이루고 살아왔듯이 오늘날 탄천은 우리의 생활과 문화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요소다.
이 땅과 함께 생겨났을, 성남지역의 젖줄이자 문화의 자양분인 탄천, 맑고 아름답게 가꾸어 그곳만의 정신과 문
화가 꽃필 수 있도록 시민들이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다.


도움말: 성남시 학예연구사 진영욱
전미향 기자 mhchun@cans21.net

※ 이번 호 부터 학예사의 도움을 받아 성남의 문화재, 문화유적 등을 둘러보는 성남역사기행이 연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