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건강칼럼] 척추관협착증과 허리디스크 차이점과 그 치료법은 무엇일까?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22/01/21 [16:06]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 오랫동안 허리가 아팠던 김모(60) 씨는 2년 전부터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이 있어서 여러 병원을 다니며 치료를 받았으나 일시적으로만 효과가 있고, 병원마다 척추관협착증, 허리디스크라는 다른 진단을 내려 답답한 마음이 들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대표적인 허리질환인 척추관협착증과 허리디스크, 두 질환은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두 질환 모두 요통이 있으며 하지방사통이 나타난다는 점은 동일하나 발병원인이 달라 올바른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우선 척추관협착증은 노화가 주원인이며, 퇴행성변화로 척추뼈 사이의 관절 부위나 인대가 두꺼워져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척추신경을 압박해 통증이 발생한다.

 

반면 허리디스크라고 불리는 요추간판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라는 추간판이 충격에 의해 손상을 받거나 퇴행성변화를 겪으면서 추간판 내부의 수핵이 탈출해 척추신경을 압박, 통증을 유발하고 심하면 운동장애까지 나타나는 질환이다.

 

증상으로 볼 때 대개 척추관협착증은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며 요추간판탈출증은 급성으로 발병한다.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허리를 앞쪽으로 굽히면 일시적으로 통증이 완화되고 뒤로 젖힐 때 악화된다.

 

또한 걸을 때 종아리가 터질 듯이 아파서 오래 걷지 못해 쉬었다가 걸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반면 요추간판탈출증 환자는 허리를 앞쪽으로 굽히면 통증이 더 심해지며 간혹 하지 근력이 저하돼 발목이나 발가락이 잘 움직이지 않아 제대로 걷지 못하거나 넘어지게 되는 특징이 있다.

 

척추관협착증이나 요추간판탈출증, 두 질환의 진단은 증상, 이학적 검사 및 단순 엑스레이(X-ray) 검사로도 추정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자기공명영상(MRI)이 필요하다.

 

▲ 척추신경 눌림이 없는 환자의 요추자기공명영상  

 

▲ 척추관협착증이 있는 환자의 요추자기공명영상   

 

▲ 요추간판탈출증이 있는 환자의 요추자기공명영상  

 

두 질환 모두 심하면 걷기도 어려워지며 보존적 치료도 효과가 없으면 수술적 처치를 고려해야 한다.

 

검사에서 척추관협착증이나 요추간판탈출증으로 진단되면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차단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으며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흔히 시술이라고 표현하는 경피적 경막외강 풍선확장술, 고주파 수핵성형술, 추간공성형술 등의 치료를 받아볼 수 있다. 허리수술은 부작용이 많다는 오해로 실제 수술적 처치가 꼭 필요한 경우에도 이를 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척추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신경손상이 발생하면 팔과 다리, 혹은 그 일부가 마비되는 운동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때 수술적 처치로 신경의 압박을 풀어주지 않으면 이러한 운동장애가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다.

 

최근에는 최소침습수술 등 다양한 기법이 개발되고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척추내시경, 꼬리뼈내시경수술 등의 내시경으로 수술하는 병원도 많아 허리수술이라고 꼭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 필요는 없다.

 

핵심적인 것은 ‘신경손상이 발생하기 전 정확한 진단과 알맞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초기 증상이 있을 때 병원에 내원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의에게 충분한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한도영  신경외과 전문의(성남시의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