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건강칼럼] 알레르기비염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21/05/24 [11:38]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알레르기비염이란  봄만 되면, 가을만 되면 콧물이 줄줄 나오고, 코가 막히고, 재채기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공기중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항원)들이 코점막을 자극해 비만세포, 호산구를 비롯한 염증세포에서 여러 가지 물질들이 나와 증상을 일으키게 되며, 이것을 알레르기비염이라고 합니다. 알레르기비염은 연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의 주요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밖에 눈 주위가 가렵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냄새를 잘 못 맡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알레르기비염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을 앓고 있는 사람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성인보다 더 알레르기비염을 앓고 있습니다. 2019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18.1%, 청소년의 35.3%가 알레르기비염을 진단받은 적이 있고, 이 수치는 2008년에 비해 약 150% 정도 증가한 수치입니다.

 

알레르기비염은 유전성 경향을 나타냅니다. 부모 중 한명이 알레르기질환이 있으면 50%, 부모가 모두 알레르기질환이 있는 경우는 75% 확률로 자녀에게 알레르기질환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부모 모두 알레르기질환이 없는 경우에서도 자녀에게 알레르기질환이 나타날 확률은 10~15%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의 진단  알레르기비염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을 청취하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와 함께 알레르기반응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레르기반응검사란 우리 몸이 어떤 알레르기항원에 반응하는지 확인하는 검사로서 피부에 시약을 떨어트리고 자극해 시행하는 피부반응검사와 피검사를 통해 알아보는 다중 알레르기항원 반응검사(MAST)가 있습니다. 각 검사는 수십 가지 다양한 알레르기항원에 대해 검사를 하는데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잡초류 등은 한국 사람들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

는 알레르기항원입니다.

 

알레르기비염의 증상  알레르기비염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맑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간지러움의 증상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증상 말고도 얼굴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소견으로 알레르기비염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으로 눈 밑의 정맥순환이 안 돼 발생하는 다크서클(allergic shiner)이 생길 수 있고, 코가 간지러워 경례하듯이 코를 계속 닦아내고(allergic salute) 그로 인해 콧등의 주름(nasal crease)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의 치료 그렇다면 알레르기비염은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알레르기비염은 어떤 것이 코를 자극하는지 아는것이 먼저입니다. 알레르기검사를 통해서 알레르기항원을 알게 되면 해당되는 물질을 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일 우선입니다. 이를 알레르기비염의 회피요법이라고 하는데, 알레르기항원의 종류에 따라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므로 자신이 갖고 있는 알레르기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약물을 복용하는 것입니다. 알레르기항원이 코점막을 자극해 염증세포에서 여러 가지 물질을 분비해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약물은 이 물질의 분비를 억제해서 증상을 조절하게 됩니다. 먹는 약과 함께 코에 뿌리는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에서 수술을 시도할 수 있으나 코막힘이 심한 경우 외에는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코점막에서의 반응으로 증상이 나타는 것이므로 수술로 코점막의 부피가 줄어들어 콧물, 재채기 증상은 일부 감소할 수 있으나 증상이 지속돼 추가적인 약물 복용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알레르기 면역치료가 있습니다. 면역치료는 알레르기비염에서 유일하게 완치 개념으로 보는 치료입니다. 앞서 언급했던 회피요법은 단순히 알레르기항원을 접하지 않게 해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이 바뀌면서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약물 역시 우리 몸에서 알레르기항원에 대한 반응에 대한 결과로 발생하는 물질을 차단함으로써 치료하는 것이기에 지속적인 약물복용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반해 알레르기 면역치료는 알레르기항원을 접하더라도 우리 몸에서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증상이 나타나지 않게 하는 치료입니다. 초기에는 주기적으로 병원에 내원해 주사를 맞는 방식으로 면역치료를 했으나 아낙필락시스와 같은 부작용 발생가능성이 있어 혀 밑에 약물을 떨어트리거나 혀 밑에서 알약을 녹여 먹는 형태로 개선됐습니다.

 

면역치료는 3~4년의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고 효과가 영구적으로 지속되지는 않아 완치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알레르기비염 치료에 있어 유일하게 병의 진행 경과를 변경할 수 있는, 완치를 목표로 하는 치료로 각광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