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주대단지 시절을 이야기하다] 은행동 감나무골 천막학교와 최규성 교장

배움의 기쁨, 앎의 밝음을 위해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책상에 앉았다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21/04/21 [17:07]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 전등빛보다 밝은 야간 노천수업     ©비전성남

 

▲ 콩나물시루를 방불케하는 천막교실의 열기     ©비전성남

 

성남 ( 광주대단지 ) 의 1971년, 당시 아침 풍경은 그랬다. 책가방 메고 등교하는 청소년은 보기 힘들었다.

 

거리에는 공장으로 출근하는 청소년이 줄을 이었다. 광주대단지 조성과 철거민 이주로 인해 인구는 급속도로 늘었지만, 전혀 정비되지 않은 땅 위에 학교가 있을 리 만무했다. 있다 한들 학교에 다닐 만큼 여유로운 시대가 아니었다.

 

‘8·10성남(광주대단지) 민권운동’이 일어나던 1971년 10월, 중원구 은행동(별나라) 감나무골 감나무밭, 배추밭에 십자가가 세워진 천막 하나와 또 다른 천막 6개가 지어졌다. 십자가가 세워진 천막의 이름은 ‘머릿돌교회(활민교회)’고 나머지 천막 6개는 천막학교, 야학 공간이다.

 

천막 창세학교(구 제일실업학교)는 그해 12월 2일 개교한다. 학교를 세운 최규성 교장이 대학교 4학년 때였다.

 

8·10성남(광주대단지)민권운동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성남을 찾은 최규성 교장의 눈에 들어온 것은 허허벌판 천막촌에서 생계마저 위협받던 사람들의 실상이었다. 폐허와 같은 상황을 눈앞에서 목격한 그는 그들을 위해 걸상을 두고 칠판 앞에 섰다. 학교가 없어 공부를 못하는 아이들, 형편이 어려워 학교 대신 공장에 다녀야만 했던 청소년들이 천막학교로 모여들기 시작했다. 낮에는 학교에 가지 못한 아이들을, 밤에는 근로청소년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선생님으로 활동했던 대학생들은 회비를 모아 분필 등 교육기자재를 구입했다.석유 등불이 어둠을 밝히고 학생들의 책 읽는 소리가 감나무골을 울렸다.

 

“제대로 된 공간이 아니다 보니 웃지 못할 일도 많았어요. 밤중에 소나기라도 내리면 학교가 떠내려갈까 봐 학생들이 삽을 들고 모여들었어요. 화장실이 없어 구덩이를 파고 볼일을 봤는데 폭우가 쏟아지면 그게 학교로 넘쳐 들어왔어요.” 최 교장은 지금은 웃으며 말할 수 있지만 당시엔 아찔한 상황이었다고 말한다.

 

천막이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벽돌을 쌓으면 무허가 건축물이라며 철거반이 동원됐고, 교육기관에선 무인가 학교라며 해산을 강요했다. 최 교장과 학생들은 굴하지 않았다. 철거반이 들이닥치면 학생들은 일손을 멈추고 공장에서 달려 나와 학교를 에워싸고 철거를 막았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철거반을 막으며 학생들이 부르던 애국가에는 ‘공부하고 싶다’는, ‘공부해야 한다’는 처절함이 배어 있었고, 배우고자 하는 의지는 밤하늘의 별빛보다 더 빛났다.

 

▲ 벽돌 모으기 활동으로 지은 활민교회와 야학(구 제일실업학교)     ©비전성남

 

낡은 천막이 태풍에 날아갔던 1975년 5월, 학생 수가300명이 넘었다. 천막마저 없어진 학교는 바람도, 비도 가려줄 수 없는 맨땅 학교가 돼버렸다. 노천수업의 시작이다. 그해 10월엔 조병규 경기도지사(1973. 1. 16 ~1976. 10. 12)가 바람과 비를 막아줄 천막교실 5개를 지어줬다. 그리고 카네이션 판매와 벽돌 모으기 운동으로 1977년에는 가건물교실 6개가 건축된다. 단지 가난으로 인해 의무교육과정은 물론 한글도 모르는 이들에게 배움의 기쁨을, 앎의 밝음을 전해주기 위해 최선을 다했을 뿐인 최 교장의 별명은 ‘무허가 건축물 왕초’였다.

 

은행동 감나무골 천막학교에서 공부한 6천여 교육생은 시의원으로, 공무원, 사업가 등으로 현재를 살아가고 있다. 광주대단지시절에 은행동 감나무골에서 시작된 야학은 현재 경기도교육감 지정 학교형태평생교육시설,창세학교(성남동)로 명칭을 변경해 운영 중이다. 창세학교 학생 중에는 당시 야학 교육마저 받기 어려웠던 이들이 많다. 그들은 이제서야 창세학교를 통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맛, 글맛을 알아가고 있다.

 

취재 윤해인 기자  yoonh1107@naver.com 

 

▲ 창세학교 최규성 교장     ©비전성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