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생태이야기] 하얀 소나무, 백송(白松)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23/01/26 [18:21]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 서울 재동의 백송     

 

▲ 신구대식물원의 어린 백송     

 

소나무는 적송(赤松), 육송(陸松), 춘양목(春陽木) 등 여러 이름이 있다. 나무줄기가 붉어서 적송, 주로 내륙지방에서 자라서 육송이라 불렸다.

 

경상북도 북부지방과 강원도 태백산맥에서 베어진 소나무들은 봉화군 춘양면에 집결돼 서울로 운송된 데서 춘양목이라고도 불렸다. 소나무 중 굵고 곧게 자라고 재질이 제일 좋은 나무를 황장목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다양하게 여러 이름을 가진 소나무 중 백송이라 불리는 소나무가 있다. 우리에게 낯선 하얀 소나무다.

 

백송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이며 2개의 잎을 가진 소나무와 달리 잎이 3개인 삼엽송(三葉松)이다. 높이 15m, 지름은 1.7m에 달하며 굵은 가지가 많이 발달하고 수형이 둥글게 된다. 중국 북경을 비롯해 중북부 지방에 걸쳐 자라는 나무로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사신으로 왕래하던 사람들이 들여와 심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송은 느리게 자라고 옮겨 심으면 잘 살지 못한다. 우리나라에 일찍이 도입됐으나 번식력이 약해서 그 수가 매우 적다. 자연스레 아주 귀하게 여겨졌고 살아남은 백송들 중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송이 많이 있다.

 

소나무는 껍질색이 붉은색을 띠며 오래되면 아랫부분이 거북등처럼 갈라지고 노목일수록 두껍게 갈라진다. 반면 백송은 어릴 때는 오히려 푸르스름하며 수피의 일부가 떨어져 나간 곳은 흰 속껍질을 드러내다 보니 군인들의 군복처럼 얼룩덜룩한 회청색의 무늬를 띤다.

 

백송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모습은 상당한 나이를 먹어야만 드러나는데 백송은 노목이 되면 푸르스름한 수피가 비늘처럼 모두 벗겨져 회백색을 나타낸다. 그래서 백송을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한다. 귀한 백송의 이런 변화에 우리 조상들은 의미를 부여하며 지켜봤는데 흰빛을 사랑한 우리 조상들은 백송의 색깔이 평소보다 더욱 희게 되면 좋은 일이 일어날 징조로 여겼다.

 

서울 헌법재판소 본관 뒤뜰에는 천연기념물 제8호로 지정된, 600년 넘는 수령의 백송이 있다. 17m 높이로 국내에서 가장 큰 백송으로 알려져 있다. 1886년 흥선대원군이 안동 김씨의 세도를 종식시키고 왕권 강화를 추진할 때 서울 재동 백송의 밑동이 유별나게 희어져 안동 김씨를 쫓아내는 거사의 성사를 확신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신구대식물원을 비롯해 성남에서도 백송을 여러 그루 볼 수 있다. 아직은 얼룩덜룩한 무늬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성남의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흰빛의 줄기를 가진 노목으로 잘 자라 성남에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길 기원해본다.

 

취재 김기숙 기자 tokiwi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