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K- 이야기 속으로] 책임의 양태

- 이경석의 실리외교와 그 이후 -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24/10/29 [17:10]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청은 조선의 행동이 교묘하게 자 신을 속여 은혜와 의리를 저버리 는 행동이라 보았다. 이를 기록 한 『청세조실록』 48권 순치 7년 (1650년) 기사 ⓒ국사편찬위원회

 

지난 칼럼에 이어 백헌 이경석(李景奭: 1595~1671) 이야기를 이어가고자 한다.

 

이경석은 병자호란 직후 삼전도비의 문장을 쓰는 등 아무도 맡으려 하지 않는 일에 책임을 지다 곤욕을 치르곤 했는데, 전쟁이 끝난 후 청과의 관계 설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644년 청은 북경을 점령하고 중원의 패자를 자처했다. 명의 부활을 기대했던 조선은 남명(南明) 정권과 반청 한인(漢人) 세력의 동태를 조심스레 살폈다. 1647년 조선 근해에서 표류하던 배를 조선 수군이 체포했는데 이들이 남명 출신 한인들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복잡해졌다. 한인들은 남명의 상황을 조선에 알려주었으며, 청으로 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조선은 논쟁 끝에 결국 이들을 청으로 보내기로 결정한다. 명분보다는 실리를 선택한 것이다. 이경석이 주관해서 작성한 청에 보낸 요청서에는 호란 후 복구가 더딘 조선은 만약 외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막아내기 어려우니 자강(自强)이 필요하다 는 주장이 넌지시 언급되어 있다.

 

▲ 「백마산기」는 『백헌선생집』 31권에 수록돼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그러나 청은 조선이 군비를 확충해 호란에 복수를 하려는 것이 아닌가 의심을 품고 1650년 3월 진상조사를 위한 사신단을 조선에 파견했다. 이때 이경석이 보여준 태도는 놀랍다. 심문 중 문서 작성의 책임은 전적으로 자기에게 있다고 책임을 진 것이다.

 

그 후 떠나게 된 유배 생활을 정리하며 남긴 「백마산기」를 보면, 자신이 의로운 행동을 했다고 ‘자뻑’하기보다는 본인은 돌에 지나지 않으며 상황이 두렵고 괴로워도 꼼짝하지 않는 것은 성정이 원래 그렇기 때문이라 담담히 말하고 있다.

 

앞장서서 책임질 줄 알며 스스로 돌이라 말할 수 있 는 해학과 겸손. 이경석의 모습은 책임지는 사람이 부족한 우리 시대에 큰 울림을 준다.

 

특별기고 옥창준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정치학 전공

-

한국학중앙연구원(https://grad.aks.ac.kr)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