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시장 이재명)의 올해 말 채무 잔액은 968억 원으로 예산대비 채무비율이 3.2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기준 전국 평균 채무비율 13.42%보다 10.17%p 낮고, 경기도 채무비율 16.5%보다 13.25%p 낮은 것으로 성남시가 타 자치단체에 비해 압도적인 재정건전성을 보이고 있다는 뜻이다. 시는 지난 2010년 판교특별회계 일반회계전입금 5,400억 원과 청사부지 미지급금 1,152억 원 등 6,552억 원의 비공식 부채로 인해 모라토리엄을 선언했다. ![]() 이로 인해 2012년 말 성남시 채무 잔액은 1,194억 원, 예산대비 채무비율은 5.27%까지 일시 상승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는 연차별 채무관리계획에 따라 채무를 상환하는 등 재정건전성을 개선하고 2013년 ‘모라토리엄 졸업’을 선언했다. 현재까지 시는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발생한 채무액 878억 원을 제외하고도 4,120억 원을 현금으로 순수 상환했다. ![]() 특히, 올해는 당초 161억 원의 채무 상환 계획에 더해 추경예산 55억 원을 편성하고, 상환 이자율이 높은 동원동 산업단지 조성사업 관련 채무를 전액 조기상환했다. 이에 따라 성남시 채무비율은 2015년말 4.22%보다 약 1%p 낮아진 3.25%를 기록하게 됐다. 성남시 관계자는 “2017년도에도 채무상환 계획에 따라 예산 166억 원을 본예산에 편성했다”며 “향후에도 채무잔액을 1천억 원 이하, 채무비율을 3% 내외로 안정적인 재정을 운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비전성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