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입춘(立春)과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14/01/27 [11:34]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팥죽 먹은 그릇은 딸에게 씻기고, 찰밥 먹은 그릇은 며느리에게 씻긴단다.’옛 어머니들의 말씀이다. 이처럼 절기엔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다.동지(冬至)는 24절기(節氣)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24절기를알려면 먼저 음력과 양력의 다른 점을 알아야 한다.

음력(陰曆)은 중국 주나라 때 화북지방에서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는 항상 둥글지만 달은 15일을 주기로 모양이 변하므로 농경 사회에서는 음력을 기준으로생활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 달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삼은 음력에서 1년은 약 354일이고, 지구의 공전 주기를 기준으로 삼은 양력(陽曆)에서 1년은 약 365일이다.

그래서 음력과 양력은 11일의 차이가 생긴다. 이 차이가 쌓이면 날짜와 계절이 맞지 않게 되고, 농사일이 어렵게 된다. 그래서 날짜와 계절을 맞추기 위해 음력에 윤달과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는 24절기를 넣게 됐고, 농사를지을 때는 24절기를 이용했다.24절기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1년을 24마디로 나눈 것이다. 태양이 춘분점을 지나는 것을 기준으로 동쪽으로15도 간격으로 이동할 때마다 계절의 특성을 알아내어절기를 정했다. 24절기는 입춘(立春)부터 곡우(穀雨)까지는 봄, 입하(立夏)부터 대서(大暑)까지는 여름, 입추(立秋)부터 상강(霜降)까지는 가을, 입동(立冬)부터 대한(大寒)까지는 겨울이다.조선 후기 헌종 때 정약용의 둘째아들 정학유는 우리말 노래인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를 지었다. 노랫말엔1년 12달과 24절기마다 해야 할 농사일과 세시풍속, 놀이,행사, 음식 등과 교훈이 담겨 있다.2월 4일은 봄이 시작되는 입춘(立春)이고, 19일은 얼었던 강물이 풀린다는 우수(雨水)다. 입춘에는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이라는 풍속이 있는데, 입춘이나 대보름 전날 밤에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일을 해야 일년 내내 액을 면한다는 것이다.예를 들면 밤중에 아무도 몰래 거지 움막에 밥을 한 솥해놓는다든지, 마을의 끊어진 다리를 이어 놓는 일을 실천하는 것이다. 자신에게 닥칠 액을 면하기 위해서든, 아니면 진정으로 도움을 주기 위해 좋은 일을 하든 목적과상관없이 마음이 따뜻해진다.

이런 훈훈한 인정도 얼었던 강물을 녹이는데 한 몫 할것이다. 그리고 진정한 봄은 적선공덕행을 실천하려는
마음가짐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