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도전, 건강하게 자전거 타기

건강칼럼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14/04/24 [15:04]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성남의 일상풍경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자전거로 탄천변을 누비는 시민들 모습일 것이다. 한강으로 이어진 탄천 자전거 도로, 근린공원, 본시가지에 건설 중인 자전거 전용도로 등 시설이 잘 구비돼 있다. 지난해에는 성남시에서 시민의 자전거 안전을 위해 단체보험까지 들었다고 하니 앞으로도 더욱 많은 시민이 자전거를 즐길 것이다. 자전거는 이동수단이면서 동시에 전신 근육 단련과 심 폐지구력 향상에 좋은 운동이다. 하지만 자전거 인구가 급증하면서 안전사고가 늘어나고 있고,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일도 생긴다. 이번에는 자전거를 탈 때 알아야할 점을 스포츠의학적 측면에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올바른 피팅(fitting) 후 자전거 타기
한 번 안장에 앉으면 계속 페달을 밟으며 달려가게 된다. 주행 중에는 안장의 위치나 핸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처음부터 본인의 체형과 자세에 맞게 이를 조정하는 피팅(fitting)이 필수다.
자전거의 올바른 피팅은 산악자전거, 로드자전거, 미니벨로 등 자전거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몇 가지 원칙이 있다. 안장의 중심(센터링), 안장 높이, 안장에서 핸들바까지의 거리, 핸들바 스템의 높이 등을 본인에게 맞춰야하며 잘 모른다면 자전거 전문 대리점에서 구입하거나 정비를 받으며 의견을 구해보는 것도 좋다.
 
피팅이 적절치 않았을 때는 장시간 주행 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핸들바가 너무 낮을 때는 뒷목이나 어깨 부위가 뻐근할 수 있다. 안장이 핸들바로부터 멀다거나 해서 너무 꽉 쥐게 될 때는 손의 감각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자전거를 오래 탔는데 허리가 아프다면 너무 허리를 기울여 타지는 않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종아리 앞쪽이 당기고 저릿하다거나 무릎이 아프다면 안장이 너무 높지는 않은지 확인해야 한다.

 
안전장비·보호구의 중요성
고속으로 주행하는 로드자전거들은 최대 시속이 60㎞/h에 이르기도 한다. 주말에는 보행자와 자전거가 뒤섞여 붐빌 때가 많고, 밤에는 조명이 적절치 않아 어두워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최소한 헬멧은 착용해야 위급한 상황에서 최악의 상황을 면할 수 있다. 넘어졌을 때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가능하면 긴팔, 긴 바지를 착용하면 좋다. 그 외에 자외선에 의한 피부 화상 방지를 위해 선크림을 바르는 것도 필요하다.

 
▲ 김지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비전성남
자전거가 전립선에 나쁜지?
많은 이들이 자전거를 오래 타면 남성의 전립선 기능에 문제를 줄 수 있다고 알고 있으나 의학적 근거는 부족하다. 시중의 전립선 안장이 도움이 된다는 근거도 없다. 그외에 발기부전을 유발한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딱딱하고 폭이 좁은 안장 위에 올라가 있을 경우 회음부의 혈액순환이 저하될 수는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주 일어나 주고, 자세를 바꿔주는 등 오래 눌리지 않게 조치하는 정도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여성의 경우에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우려가 있다. 안장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거나 가벼운 요도염 등이 드물게 발생하기도 하나 역시 잦은 자세 변경과 휴식 등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일상 수준의 자전거 타기로는 이러한 걱정은 기우에 불과하며, 1시간 이상 장시간 주행할 경우 잦은 휴식과 자세 변경, 충분한 수분 섭취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

 
내 운동능력에 맞는 자전거 타기
너무 힘을 주어 페달을 밟거나, 숨이 턱끝까지 차오르는데 주행을 계속하는 것은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본인의 최대심박수를 평가해 보고 이 최대심박수의 60% 내외를 유지해 달려야 가장 최적의 운동효율을 낼 수 있다. 그뿐만아니라 1분에 60회에서 시작해 점차 늘려나가며 타는 것이 좋다.
근로자건강센터에서는 본인의 최대심박수와 심폐지구력, 운동능력을 첨단장비로 평가할 수 있고, 개인 맞춤형 운동처방을 받을 수 있다. 모든 서비스 비용은 전액 무료다.

문의 경기동부근로자건강센터 031-739-9301, www.gdwh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