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역사 속 돼지 이야기] 복(福)과 부(富)가 함께하는 기해년(己亥年)을 기원하며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18/12/20 [17:02]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돼지는 속담에서 대부분 탐욕스럽고 더럽고 게으르며 우둔한 동물로 묘사됐다. 산돼지가 곡식을 흩트리거나 쏠거나 해서 많은 해를 줘서인지 조선시대 한 해의 첫 돼지날에는 궁중에서 돼지주둥이를 지지는 주술적인 행사를 거행했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한 해 첫 번째 돼지의 날에 궁중의 나이가 젊고 낮은 직급의 환관들이 횃불을 땅위로 이리저리 내저으며 “돼지주둥이 지진다” 하면서 돌아다니며 풍년을 빌었다고 한다.

하지만 돼지는 일찍부터 제전에 희생으로 쓰인 동물로 우리 조상들은 돼지를 매우 신성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고구려 유리왕은 달아나는 돼지를 뒤쫓다가 국내성에 이르러 국내성 지역의 산수가 뛰어남을 알게 돼 도읍을 국내성으로 옮겼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처럼 돼지는 역사 속에서 신기한 예언을 하는 동물로도 등장한다.

조선시대 종묘와 사직에 드리는 제사에도 산돼지가 쓰여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앞두면 경기도 내 산간지방 수령들은 산돼지를 잡으려고 온 군민을 동원했다. 군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폐단이 있다고 판단한 정조는 서울의 포수들을 시켜 산돼지를 사냥해 오도록 했다고 한다.
  
돼지(亥)는 12간지의 12번째 동물로 더럽다는 인식도 있지만 사실 소나 닭보다 깨끗하다. 외관상 돼지우리 주변은항상 습기가 차고 지저분하다. 돼지는 땀샘이 발달하지 못해 체내의 모든 수분이 소변으로 배설되기 때문이다.하지만 후각이 발달돼 배설장소만 따로 마련해 주면 냄새를 맡고 그곳에서만 볼일을 본다.

돼지는 ‘부(富)’와 ‘복(福)’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돼지해를 맞으면 행운과 재물운이 따를 거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는것도 이 때문이다. 장사꾼들이 ‘정월상해일’에 문을 열고 돼지그림을 부적처럼 거는 풍속도 이것에서 연유했다. 돼지의 강한 번식력을 사업의 번창으로 연결한 것이다.
 
꿈속에서는 용꿈과 더불어 최상의 길몽으로 더욱 후한 대접을 받는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에서도 돼지가 풍요를 비는 제물이었다. 불국사 극락전의 현판 뒤에도 극락세계의 돼지가 숨어 있어 방문객들은 불국사 극락전에 가면 꼭 현판 뒤 꽁꽁 숨어 있는 돼지상을 찾게 된다.

세상의 행복과 즐거움이 가득하다는 극락정토의 돼지는 부와 귀의 상징인 동시에 지혜로움으로 그 부귀를 잘 다스려야 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2019년 기해년(己亥年)이 복과 부가 가득한 한 해가 되길바라며 우리 모두가 최선을 다하는 한 해를 맞이하길 기원한다.
 
김기숙 기자 tokiwif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