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음악칼럼] ‘도레미’ 명칭은 어디에서 왔을까?

귀도 다레초 & 계이름

  • 비전성남 | 기사입력 2019/09/24 [16:17]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  귀도 다레초가 계이름을 만드는 데 이용한 성 요한 찬가    © 비전성남

 

▲ 귀도 다레초   © 비전성남


한글날이 든 시월을 맞아 음악계의 세종대왕이라 불릴 만한 인물을 소개하려고 한다.

11세기 이탈리아 수도사이자 음악이론가인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 ‘아레초 출신의 귀도‘라는 뜻)는 현대적기보법과 계명창법 발명으로 서양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이다. 귀도가 발명한 계명창법은 계이름으로 음높이를 파악해 노래하는 방식으로, 당시 성가대 합창단을 가르치던 귀도가 단원들이 더 쉽고 빨리 성가를 익히고 암기할 수 있도록 고안한 방법이다.

계이름을 이용해 어떻게 쉽고 빨리 노래를 배우는지는 뮤지컬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을 보면 쉽게 이해된다. 폰 트랩가의 가정교사가 된 견습 수녀 마리아가 노래를 배워 본 적이 없다는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노래 ’도레미송‘은 중세시대 귀도 다레초가 계이름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현대판 영상이나 다름없다.

이해가 쉽게 한국어 버전의 ‘도레미송’으로 설명하자면 이렇다. ‘는 하얀 화지, 는 둥근 코드, 는 파란 나리...’의 노래가 보여주듯이, 계이름의 명칭은 친숙한 단어의 첫 음절에서 빌려온 것이다.

귀도 다레초는 라틴어로 된 찬송가의 첫 6구절(Utqueant laxis, Resonare fibris, Mira gestorum...)을 사용해 계이름을 만든다. 이 6구절의 첫 음절 ‘ 파 솔 라 (Ut Re Mi Fa Sol La)’가 시간이 지나면서, ‘웃’은 발음하기좋은 ‘도’로 바뀌고, 16세기에 찬송가의 일곱 번째 구절 ‘Sancte Iohannes‘의 앞 글자가 7음 가 되면서 현재의 계이름 ‘ 파 솔 라 ’가 완성된다.

당시 선배 수도사의 노래를 듣고 배우는 방식은 정확성이 떨어질뿐더러 시간도 오래 걸렸다. 노래를 완전히 익히는 데 10년이 걸리던 시간을 계명창을 사용하면 5개월로 단축할 수 있다고 귀도는 설명한다.

훈민정음 서문에 ‘슬기로운 사람은 아침이 끝나기 전에 깨치고,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열흘이면 알 수 있다’는 말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세계문자 사상 가장 진화된 문자로 평가되는 한글을 떠올리며 잠시 생각해본 음악사 속 ‘귀도 다레초와 계이름’ 이야기였다.

※ 유튜브에 ‘비전성남 음악칼럼 귀도 다레초’를 입력하면 계이름의 바탕이 된 찬가와 <사운드 오브 뮤직>‘도레미송’ 영상을 찾을 수 있다.

취재 조윤수 기자 choyoonsoo@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