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8일 성남시청 산성누리에서 광주대단지 사건 명칭 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가 있었다.
토론회에 앞서 은수미 성남시장은 “한 도시가 생성, 발전, 성장하는 데 광주대단지사건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름을 정하는 중요한 자리에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인사말로 토론회장의 문을 열었다.
먼저 전우용 사학자의 발제가 있었다.
발제가 끝나고 좌장 하동근 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위원장의 진행에 따라 안종철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부위원장, 한도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김원 광주대단지사건 학술연구용역 책임연구원, 김준기 8.10 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회장, 정인목 성남시 자치행정과장이 광주대단지사건의 명칭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발제에서 전우용 사학자는 ‘봉기, 투쟁, 항거, 항쟁’ 등의 의미를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지명과 주체, 역사적 성격의 문제를 종합해 ‘1971년 성남 이주민 봉기’를 제안했다.
하동근 좌장은 토론회를 시작하면서 “광주대단지사건은 이야기 나누기를 꺼리는 사건이었다. 이름이 지역을 왜곡시키는 데 영향을 줬다”며 지명, 주체, 시선의 문제를 고려한 이름을 제시해 달라고 했다.
광주대단지사건은 해방 이후 최초의 도시 빈민투쟁이다. 성남의 태동이 된 사건임에도 폭동의 의미로 저평가 돼왔다. 2021년 50주년을 맞는 광주대단지사건은 아직 공식적인 명칭이 없다. 참석한 토론자들은 광주대단지사건의 의미를 바로 세울 수 있는 몇 가지 이름을 제안했다.
‘1971년 성남 광주대단지’, ‘성남민권운동’, ‘1971 성남이주민항거’ 외에 진상규명이 정확하게 되고 백서, 보고서 발표 이후 시민이 공감하는 방향으로 이름을 정했으면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여러 가지 의견이 오가고 토론하며 결정한 이름은 ‘8.10 성남(광주대단지)항쟁’이다.
광주대단지사건 명칭 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는 사건의 올바른 명칭을 지정해 역사에 관한 인식을 바로 세우기 위해 개최됐다. 이날 토론자들이 의견을 모은 이름은 시민 공론화와 시의회 합의 과정을 거쳐 정식 명칭으로 정해질 예정이다.
자치행정과 031-729-4833
※ 광주대단지사건: 1968년 서울시의 무허가 주택 철거계획에 따라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현 성남시 수정구·중원구) 일대로 5만여 명이 이주했다. 강제 이주 당해 도착한 곳은 허허벌판으로 다시 판잣집을 지어야 하는 상황이었고 생계를 이어갈 일터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다. 또한 이주민들에게 비싼 땅값과 과도한 세금이 부과됐다. 이에 이주민들이 최소한의 생계대책을 요구하고자 1971년 8월 10일 결집하고 행동했다.
취재 박인경 기자 ikpark9420@hanmail.net 저작권자 ⓒ 비전성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