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우리 동네 역사이야기·하대원동

  • 관리자 | 기사입력 2010/05/24 [18:51]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하대원동(下大院洞)은 조선 중기의 문신 <송언신>의 서원이 있는 곳을‘상대원’, <이집>의 서원이 있는 곳을‘하대원’이라 불렀다는 설이 있다.

하대원동엔 훌륭한 역사 인물과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다. 그 중 역대 임금들이 잠시 머물렀다는 대야원(大也院)이 주목할 만하다. 원(院)은 전국 각 역(驛)과 함께 여행자를 위해 설치한 일종의 여관이라고 할 수 있다.

임금들 중 대야원에 머물렀던 분은 백성과 가까워지기 위해 늘 마음을 열어 놓으셨다는 성군, 세종대왕이다. <세종 13년(1431) 음력 2월 21일, 낮참에 대야원평(大也院平)에서 머물렀다. 중궁(中宮)과 성비전(誠妃殿), 그리고 의정부·육조에서 풍정(豊呈)을 올리니, 임금이 사람과 말이 많이 죽은 것을 생각하고 잠깐 들고 곧 철거하게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그 후로도 한차례 더 머물렀던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엔 한강 남쪽 일대가 군사 훈련장이었다.문현산(門縣山)의 사장(射場)에서 사냥을 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군사 훈련 차 대야원에 머물렀을 가능성이 높다. 세종대왕뿐일까. 확인할 수 는 없지만 많은 임금들과 관료들도 머물렀을 것이다.

한발 한발 땅을 딛다보면 그분들이 흘리고 간 땀방울과 숨소리, 정신이 발바닥으로 전해질 것만 같다.대야원이 있던 곳은 현재 검단초등학교 부근으로 추정된다. 하대원동엔 고려 시대의 문인 광주 이씨, 둔촌 이집(1327-1387) 선생과 그의 아들 탄천 이지직(1354-1419) 선생의 묘역이 있다. 

이집 선생은 고려 말, 신돈의 악행을 날카롭게 비판하며 바른 정치를 촉구하다 목숨까지 위태롭게 되자 둔촌동 일자산 <둔굴>로 피했다가 늙은 아버지를 업고 경북 영천으로 피신, 3년간 은둔했다. 신돈이 역모로 죽고 판전교시사에 임명됐으나 곧 사직하고 성남시 금토동과 천녕현(경기도 여주)으로 낙향했다. 

문장에 능했던 선생은 이색, 정몽주, 이숭인 등 당대의 석학들과 교유했고 그들로부터 존경의 대상이었다. 말년에 탄천가에 은거한 이지직 선생 또한 관직에 있을 때는 일을 처리함에 엄정하고 법도가 있었으며 후일 청백리에 오르고 영의정에 추증됐다.

하대원동 산7-1번지에 위치한 둔촌의 묘는 2008년 <경기도기념물 제219호>로 지정됐고 선생의 인품과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추모제와 백일장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존경하고 그리워하면 닮는다고 했다. 세종대왕의 성품과 업적, 이집 선생의 인품을 후손들이 기리고 추모해서 그분들을 닮는다면 더 할 수 없이 좋은 일이 아닐까. 

하대원동은 조선 시대 때 광주군 세촌면 하대원리였고 2000년 10월, 하대원동이 됐다.

조민자 기자 dudlfdk@hanmail.net
자료제공|성남문화원
도움말|윤종준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상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