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금융회사 X파일 보험사편③

  • 관리자 | 기사입력 2010/04/21 [15:00] | 본문듣기
  • 남자음성 여자음성

갱신형보험의 허(虛)와 실(實)

일정기간 동안 일정한 보험료를 납입하면 납입이 종료되는 정액형과 달리, 나이의 변화·의료수가의 변화·위험률의 변화·금리의 변화에 따라 보험료가변동되는 것을 갱신형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각종 질병의 위험성이 올라가고, 인플레이션에 의해 의료수가도 올라가기 때문에 보험료는 증가된다. 대표적 갱신형은 의료실비특약을 들 수 있지만, 요즘에는 암과 주요 성인병에 대해 갱신형 특약이 늘어나는 추세다.


다음의 표는 현재 사망 원인별 확률과 미래 예상 사망 원인별 확률을 비교한 표이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수명이 늘어나고 있지만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것은, 발병률이 더욱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 갱신형 = 조삼모사(朝三暮四)?
갱신형보험은 가입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보험료로 책정된다. 특히 입원비와 각종 성인병을 보장하는 특약이
그러하다. 하지만 처음에는 부담스럽지 않았던 보험료가 나중에는 부담스러워질 수 있다. 또한 보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보험료를 내야 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문제는 은퇴 후의 경제력이다. 경제력만 충분하다면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없겠지만, 경제력이 부족하다면 정작 꼭 보장이 필요할 때 보험을 유지할 수 없어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 갱신형 특약들이 많아진 이유
보험료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예정위험률’이 있는데, 보험사들은 이것에 근거해 보험료를 산출한다. 만약 예
상보다 위험률이 높아 보험금지급이 많아지면 보험사는 손해를 입게 된다.반대로 예상보다 위험률이 낮아 보
험금지급이 줄어들면 잉여자금을 고객들에게 돌려주거나(배당) 보험료를 낮게 책정해야 한다. 단위기간 동안의 위험률을 측정해 매번 다른 보험료를 책정하면(갱신형) 보험사가 손해를 감수하거나 번거로운 작업을 하는‘위험’을피할 수 있게 된다.

⊙ 갱신형보험 최대한 활용하기
1. 해당질병의 발병률 추세 고려
- 해당질병의 발병률이 낮아지고 있다면, 갱신형을 선택하는 것도 좋다.
2. 해당질병의 발병 시기 고려
- 고령에서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질병은 갱신형을 피하자.
3. 개인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다.
- 보험은 필요하지만 보험료가 부담스러운 경우
※ 참고자료 : <성별, 사망원인별, 연령별로 조정한 인구예측>, 고려대 통계학과 박유성 교수

포도재무설계 재무상담사 이지만
aomory@podofp.com
※ 다음호에는 은행편에 대해 알아봅니다.